주식투자

코스닥은 코스피에 비해 얼마나 위험했을까? KODEX 코스닥150 + KODEX 200 (정량적 분석, +동영상)

오렌지사과키위 2025. 9. 17. 17:38

한국의 코스닥(KOSDAQ) 시장은 미국 나스닥(NASDAQ) 시장을 롤 모델로 만들어진 주식 거래 시장입니다. 미국 증시 성장에는 나스닥이 큰 기여를 했지만, 한국의 코스닥은 그렇지 못했습니다. 1996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코스닥 지수는 1,000인데, 2025년 9월 17일은 845로 배당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약 30년간 성장은커녕 원금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더욱이 코스닥 시장의 변동성은 코스피(KOSPI) 시장보다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금융 상품은 위험할수록 기대 수익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코스닥은 동일한 국가의 주식 시장인 코스피에 비해 위험은 높으면서 수익률은 낮은 기묘한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원화 예금과의 분산 투자가 코스닥 150 지수 ETF에 100% 비중으로 투자하는 것보다 유리했을 정도였습니다.

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모두 과거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코스닥 대형주에 투자하는 KODEX 코스닥150 ETF와 코스피 대형주에 투자하는 KODEX 200 ETF로 지난 10년간의 코스닥 시장의 평균적인 수익률 특성을 코스피와 비교 분석해 봅니다.

코스닥에 투자하면 유리했을까? - KODEX 코스닥150  + KODEX  200 (정량적 분산 투자 분석) - https://youtu.be/f78d-fYDd9I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최신 글)

  1. 초고배당 커버드콜 배당금으로 원금 회수에 얼마나 걸릴까? - 배당금을 얼마나 받게 될까? (+동영상)
  2. 버퍼(buffer) ETF는 과연 효용이 있었을까? - Innovator의 버퍼 ETF 상품으로 본 버퍼 ETF의 효과 (정량적 분석, +동영상)
  3. 국내 주식 투자자는 금을 보유하면 어떤 효과가 있었을까? (EWY=KODEX 200 + GLD) (정량적 분석, +동영상)
  4. 라운드힐의 저배율 레버리지 기반 고배당 ETF (NVDW, TSLW, PLTW, AAPW, 정량적 분석, +동영상)
  5. 배당 성장 ETF는 무엇이 좋을까? VIG, DGRO, DGRW (정량적 분석, +동영상)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기 글)

  1. [중급 21] 섀넌의 도깨비(Shannon's Demon) - 현실에서는 왜 찾기 어려울까?
  2. 외화 RP는 위험한가? (증권사가 RP를 운용하는 방법)
  3. 라운드힐 PLTW(팔란티어 1.2배 레버리지 + 초과 성과 매주 배당 ETF) - 반년간 기초자산은 40%나 상승했는데? (정량적 분석, +동영상)
  4. 커버드콜과 노벨상 (커버드콜에 투자하면 안 되는 간단하고 명확한 이유 + 노벨상을 받는 손쉬운 방법)
  5. 금(GLD) 대신 은(SLV) ETF는 어떨까? 금만큼 분산 투자 효과가 있었을까? (정량적 분석, +동영상)
도움이 되었다면, 이 글을 친구와 공유하는 건 어떻까요?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