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자산의 과거 성과를 살펴보기 위해 누적 수익률 그래프를 살펴봅니다. 최초 투자 시점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자산의 일일 변화량을 기록한 그래프입니다. 전반적인 모양을 보면 장기적으로 상승했는지, 아니면 하락했는지, 등락이 평탄했는지 아니면 기복이 심했는지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산의 성과를 비교하고 투자에 참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느낌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자산 A의 장기 성장률이 자산 B와 비교해서 어떠했는지, 자산 A에 투자하면 자산 B에 비해 얼마나 위험했는지 정량적인 수치로 표현해야 비교가 수월해집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요약한 통계량이 척도(metric) 또는 지표(indicator)입니다.
자산의 성과를 요약한 지표를 성과 지표라고 부르며, 이는 다시 수익 지표와 위험 지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산 성과의 정량적 분석에 흔히 사용하는 지표는 CAGR과 같은 평균 수익률과 표준 편차입니다. CAGR은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수익률을 거두었는지, 표준 편차는 평균 수익률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달성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두 지표가 모든 투자자의 투자 판단에 가장 적합한 지표는 아닐 수 있습니다. 특히 위험 지표의 경우 표준 편차보다 각자의 투자 목표에 보다 적합한 지표가 있거나 직접 정의해야 할 수 있습니다. 자산 성과의 비교 분석에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 두 지표가 통계학적으로 잘 정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관련 동영상: [기초 19] 자산 비교 분석에 사용하는 지표(또는 척도)란 무엇일까?
본 영상에서는 평균 수익률과 표준 편차를 자산의 수익률 특성 파악에 사용하는 이유와 두 가지 지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살펴봅니다.
[기초 21] 평균 수익률과 표준 편차 - 자산의 특성 요약 - 왜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사용할까? - https://youtu.be/QjVs0UFRpLs
- YouTube
www.youtube.com
슬라이드 (영상 설명이 슬라이드보다 더 자세합니다)
재생 목록] 투자의 기초 - 투자 특히 주식 투자를 중심으로 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기본 사항을 연재합니다. (영상 21+)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j7eAFTfVFfnHum41lbUJzuYj3Y-Te-aV
투자의 기초
투자 특히 주식 투자를 중심으로 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기본 사항을 연재합니다.
www.youtube.com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최신 글)
- 저변동성 ETF는 시장보다 좋았을까? USMV(미국 저변동 대형주 ETF) + SPY [정량적 비교 분석과 분산 투자 효과]
- [투자 기초 20] 비정기 적립식 수익률은 어떻게 시장 지수와 비교할 수 있을까? 내부 수익률 - 거치식, 적립식, 인출식 투자 수익률 비교에 사용할 수 있는 수익률 (+동영상)
- [투자 기초 19] 자산 비교 분석에 사용하는 지표(또는 척도)란 무엇이며, 어떤 것이 있을까? (+동영상, +슬라이드)
- [투자 기초 18] 투자 목표에 따라 달라지는 자산의 선택 - 한수학 선생님은 누구를 수학 경진 대회에 내보내야 할까? (+동영상, +슬라이드)
- [투자 기초 17] 주식 거래와 부동산 거래의 차이점 - 잔금, 증거금, 미수금, 중개인(증권사)의 역할과 거래 강제 이행 (+동영상)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