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가 본인의 상황과 투자 목적에 비춰 투자할 가치가 있는 자산을 여럿 발견했다면, 어느 자산에 투자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 합니다. 수익률이 높고 안정성도 높을 거라 예상되는 자산을 선호할 것입니다. 운이 좋아서 다른 모든 자산보다 수익률이 높고, 안정성도 높을 거라 기대하는 자산이 있다면 선택에 별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의 자산은 대체적으로 수익률이 높으면 안정성이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살펴보았을 때 수익률이 높았던 자산 A는 위험 역시 높을 수 있습니다. 안정성이 높았던 자산 B는 수익률이 낮을 수 있습니다. 더구나 자산 A의 수익률과 자산 B의 안정성이 미래에도 지속될지 불확실합니다.
투자에서 자산을 혼합하면, 즉 분산 투자하면, 신비한 일이 발생합니다. 자산 A와 B에 분산 투자하면, 수익률은 자산 A와 B 사이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두 자산 모두보다 높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험도 자산 A와 B 중간에 있을 거라 기대하지만, 두 자산 각각보다 낮아지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두 자산 간의 상호 보완성 정도에 따라 마법과 같이 일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분산 투자의 효과 사례
다음은 SPY를 기준으로 다른 기초자산과 분산 투자했을 때의 효과를 살펴본 평균-분산 그래프입니다.
빨간색 선이 SPY + GLD 포트폴리오입니다. SPY와 GLD는 모두 연 12% 정도의 복리 수익률을 보였고, 표준 편차로 본 위험은 각각 14%와 19% 정도였습니다. SPY와 GLD에 6 : 4 정도로 분산 투자했다면 복리 수익률은 0.5%가량 높아져서 12.5% 정도가 되었습니다. 표준 편차는 11%가량으로 SPY와 GLD 각각의 위험보다 확연히 낮아졌습니다. 진지한 투자자라면 투자에 대한 기초 이론 그중에서도 분산 투자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주어진 자산으로 분산 투자를 시뮬레이션하여 수많은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면, 그중에서 자신보다 더 나은 포트폴리오가 없다고 볼 수 있는 포트폴리오 집합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들 포트폴리오가 이루는 곡선을 효율적 투자선(efficient frontier)라고 합니다. 투자자가 과거 데이터의 경향이 미래에도 반복된다고 믿는다면, 이 효율적 투자선 위에 있는 포트폴리오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두 편의 글을 통해 기초자산과 퀀트킹의 추천 로직에 분산 투자했을 때, 어떤 자산 및 퀀트 전략으로 효율적 투자선이 구성될 가능성이 높은지 찾아내는 방법을 사례와 함께 살펴봅니다.
두 자산 분산 투자에 대한 효율적 투자선으로 유력한 후보 자산을 찾아보자 [모바일]
5개의 기초자산과 7개 퀀트킹 추천 로직에 대해 두 개씩 짝을 지어 만든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효율적 투자선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후보 자산을 찾아봅니다. 효율적 투자선에서 표준 편차(또는 수익률)가 높아질수록 자산의 비중이 어떻게 변하는지도 살펴봅니다.
[파이썬 부록 K7] 두 자산 분산 투자에 대한 효율적 투자선으로 유력한 후보 자산을 찾아보자 (+퀀
지금까지 2개의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경우를 살펴보았습니다. 하나의 자산을 메인으로 두고 나머지 자산 ...
blog.naver.com
K8. 퀀트킹의 26개 추천 로직에서 분산 투자에 유력한 후보 자산을 찾아보자 [모바일]
동일한 접근을 기초자산 5개와 26개 퀀트킹 추천 로직에 대해 적용해 봅니다.
[파이썬 부록 K8] 퀀트킹의 26개 추천 로직에서 분산 투자에 유력한 후보 자산을 찾아보자 (+퀀트
지난 글에서 기초자산 5가지와 퀀트킹의 7개 추천 로직에서 분산 투자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되는 자산을 ...
blog.naver.com
참고 도서 및 관련 자료: 오렌지사과의 출간 책 소개와 샘플북 목록
다음의 참고 도서 및 관련 자료는 소개한 글을 이해하거나 직접 분석해 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각각의 책 소개 링크에는 샘플북도 첨부되어 있습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부록 K19 - K21] 퀀트 전략의 파라미터 결정과 분위별 분석을 통한 팩터에 대한 분석 (퀀트킹) (0) | 2025.08.07 |
---|---|
[파이썬 부록 K16 - K18] 팩트 포트폴리오 - 팩터 조합을 분산 투자로 해석해 보자 (퀀트킹) (0) | 2025.08.07 |
[파이썬 부록 K14 - K15]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성과 변화를 살펴보자 (퀀트킹) (0) | 2025.08.02 |
[파이썬 부록 K9 - K12] CVaR 위험 지표를 이용한 기초자산과 퀀트 전략의 분산 투자 분석 (퀀트킹) (0) | 2025.07.27 |
[파이썬 부록 K2 - K6] 기초자산과 퀀트 전략의 분산 투자 (퀀트킹) (0) | 2025.07.26 |
[파이썬 부록 K1] 파이썬으로 퀀트킹 백테스트 데이터를 가져와서 정리하기 (0) | 2025.07.20 |
[중급 부록 A3] 이 커버드콜 ETF의 기초자산은 무엇일까? (피어슨 상관 계수를 이용한 닮은 ETF 찾기 2) (0) | 2025.07.12 |
[중급 부록 A2] 이 자산은 무엇과 비슷했을까? (피어슨 상관 계수를 이용한 닮은 ETF 찾기) (0)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