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투자 기초 5] 왜 원화로 자산을 평가해야 할까? 한국인과 미국인에게 적합한 포트폴리오는 왜 다를까? (+동영상)

오렌지사과키위 2025. 9. 21. 13:33

투자자는 자국 자산뿐 아니라 해외 자산도 투자 범위에 넣을 수 있습니다. 국내 자산인 삼성전자에 투자한다면 원화로 거래해야 하며, SPY와 같이 미국 자산을 매수하려면 달러가 필요합니다. 각각의 자산은 해당 국가의 통화로 거래합니다. 국내 상장이면서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ETF를 매수하면 원화로 매매하는 듯 하지만,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가 원화와 달러를 환전해 주기에 원화로 거래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워렌 버핏도 한국의 SK하이닉스 주식을 매수하려면 달러 대신 원화를 사용해야 합니다.

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모두 과거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자산의 거래 통화는 원화일 수도 있고 달러와 같은 해외 통화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산의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원칙은 간단합니다. 달러로 생활하는 투자자는 달러로, 원화로 생활하는 투자자는 원화로 평가해야 합니다. 한국인은 원화로 생활비를 지출하고, 세금도 원화로 내니 원화로 평가해야 합니다.

원화가 아닌 통화로 거래되는 해외 자산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율을 적용해서 원화로 환산해야 합니다. 환율을 적용하면 해당 자산의 수익률 특성이 변할 수 있습니다. 환율에 의한 효과가 부가되기 때문입니다. 해당 국가 통화로는 손실 상태인데, 원화로는 평가 이익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해당 국가 통화로는 이익이고, 원화로는 손실 상태일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는 해당 국가 통화를 기준으로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PY를 매달 100달러씩 적립식으로 매수하는 투자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 투자 전략을 수립하거나 전체 자산의 규모를 평가할 때에는 원화로 살펴보아야 합니다. 결국에는 원화로 생활비를 지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환율에 의한 자산의 수익률 특성 변화는 투자 전략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같은 자산에 투자하더라도 미국인이 느끼는 수익률과 위험은 한국인과 다를 수 있습니다. 미국인에게는 위험한 자산이 한국인에게는 덜 위험할 수 있고, 미국인에게는 덜 위험한 자산이 한국인에게는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미국인에게 적합한 장기 투자 포트폴리오와 한국인에게 적합한 장기 투자 포트폴리오는 달라지게 됩니다.

한국인은 왜 원화로 자산의 성과를 평가해야 하는지 살펴보고, 환율 효과에 의해 한국인과 미국인에게 적절한 포트폴리오가 달라지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기초 5]  왜 원화 수익률로 자산을 평가해야 할까? 한국인과 미국인에게 적합한 포트폴리오는 왜 달라질까? - https://youtu.be/h8JXZIpylpM

[재생 목록] 투자의 기초 - 투자 특히 주식 투자를 중심으로 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기본 사항을 연재합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j7eAFTfVFfnHum41lbUJzuYj3Y-Te-aV

투자의 기초를 영상으로 하나씩 재미있고 쉽게 설명합니다. 재생 목록에서 순서대로 또는 관심 있는 주제를 골라 시청하기를 권합니다.

 

투자의 기초

투자 특히 주식 투자를 중심으로 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기본 사항을 연재합니다.

www.youtube.com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최신 글)

  1. [투자 기초 4] 왜 장기 투자 성과는 로그 스케일로 봐야 할까? (+동영상)
  2. [투자 기초 3] 왜 TR(Total Return; 배당 재투자 수익률)로 비교해야 할까? PR(Price Return)을 쓰면 어떤 착시가 발생할까? (+동영상)
  3. [투자 기초 2] 왜 시장 전체에 투자하라는 걸까? - 액티브 펀드 vs 패시브 펀드 (SPIVA 통계, +동영상)
  4. [투자 기초 1] 왜 분산 투자하라는 걸까? - ETF(펀드)는 무엇일까? (+동영상)
  5. 국내 주식에 환율 효과 추가하기 - KIWOOM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 KODEX 레버리지 (정량적 분석, +동영상)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기 글)

  1. [중급 21] 섀넌의 도깨비(Shannon's Demon) - 현실에서는 왜 찾기 어려울까?
  2. 라운드힐의 저배율 레버리지 기반 고배당 ETF (NVDW, TSLW, PLTW, AAPW, 정량적 분석, +동영상)
  3. 외화 RP는 위험한가? (증권사가 RP를 운용하는 방법)
  4. 국내 주식 투자자는 금을 보유하면 어떤 효과가 있었을까? (EWY=KODEX 200 + GLD) (정량적 분석, +동영상)
  5. 초단기 채권 ETF가 좋을까? RP/발행어음이 좋을까? (파킹용 단기 자금)
도움이 되었다면, 이 글을 친구와 공유하는 건 어떻까요?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