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투자 기초 9] 수익률 100%와 -50%는 왜 대칭일까? - 손익비대칭성, 항등원, 역원 (+동영상, +슬라이드)

오렌지사과키위 2025. 9. 24. 13:58

복리 투자에서 수익률 100%와 -50%는 서로 대칭입니다. 자산이 두 배로 늘어난 후 절반으로 줄어들면 본래 규모의 자산이 되기 때문입니다. 초기 자산의 규모를 1로 두면, 수식으로 1 × (1 + 100%) × (1 - 50%) = 1 × 2 × 0.5 = 1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해가 될 듯하면서도 조금 아리송합니다.

손익비대칭으로 느끼는 이유

사람들은 곱하기 보다 더하기에 익숙합니다. 100%와 -50% 수익률이 주어지면, 무의식적으로 더하기를 합니다. 100% + (- 50%) = 50%이니, 100% 수익률과 -50% 수익률이 대칭으로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10% 수익률과 20% 수익률이 주어져도 마찬가지입니다. 총수익률을 10% + 20% = 30%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수학적으로 해석해 보면 꽤 재미있습니다. 투자 방식에 따라 대칭 구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곱하기는 이전 투자 결과를 기반으로 재투자하는 복리 투자에 해당됩니다. 연산에서 본래 값이 나오는 수치를 항등원(identity element)라고 합니다. 수익률이 a라고 하면 곱하기에 대해서는 (1 + a) × 1 = (1 + a)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1은 곱하기 연산에 대한 항등원입니다.

연산(여기서는 곱하기)에 대해 항등원이 나오는 결과를 역원(inverse element)이라 합니다. (1 + a) × (1 + x) = 1이 되는 수익률 x를 구해보면 x = 1 / (1 + a) - 1이 됩니다. a = 100%로 두면, x = 1 / (1 + 100%) - 1 = 1 / 2 - 1 = -50%가 됩니다. 곱하기에 대해서 100%와 -50%는 서로 역원 관계에 있기에, 복리 투자에서 100%와 -50% 수익률은 대칭이 되는 것입니다.

투자자가 복리 투자가 아니라 단리 투자를 하면 어떻게 될까요? 단리 투자는 더하기 연산입니다. a + 0 = a가 되니, 0이 더하기에 대한 항등원입니다. 수익률 a에 대한 역원은 a + x = 0을 풀면 구할 수 있습니다. x = -a입니다. 따라서 단리 투자에서 50% 수익률과 -50% 수익률은 서로 대칭 관계에 있습니다.

이제 손익비대칭성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복리 투자에 대해 역원 관계에 있는 수익률 짝을 단리 투자를 가정하여 대칭을 상상하기 때문에 생기는 착시가 손익비대칭성입니다.

손익 비대칭성이 무엇인지 영상으로 자세하게 해설합니다.

[기초 9] 수익률 100%와 -50%는 왜 대칭일까? - 손익비대칭성, 복리 투자, 항등원, 역원 - https://youtu.be/JZ4Y4S-Hv0U

슬라이드

[재생 목록] 투자의 기초 - 투자 특히 주식 투자를 중심으로 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기본 사항을 연재합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j7eAFTfVFfnHum41lbUJzuYj3Y-Te-aV

투자의 기초를 영상으로 하나씩 재미있고 쉽게 설명합니다. 재생 목록에서 순서대로 또는 관심 있는 주제를 골라 시청하기를 권합니다.

 

투자의 기초

투자 특히 주식 투자를 중심으로 투자자가 알아야 하는 기본 사항을 연재합니다.

www.youtube.com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최신 글)

  1. TIGER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 (KODEX 200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앞으로 어떤 성과를 보일까? (+동영상, +슬라이드)
  2. 커버드콜 배당금 대신 기초자산 매도로 현금 흐름 만들기 - 보조계좌와 일괄매도 (+동영상)
  3. [개설 40일째] 유튜브 1,000 시간 달성, 블로그와의 차이점 + 영상 품질의 중요성 (YPP, 유튜브의 영상 평가 방법)
  4. [투자 기초 8] 투자란 무엇일까? 절약과 친구와의 배낭여행도 투자일까? (+동영상)
  5. [투자 기초 7] CAGR은 무엇이고, 기하학적으로는 어떻게 표현될까? (+동영상)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기 글)

    1. 라운드힐의 저배율 레버리지 기반 고배당 ETF (NVDW, TSLW, PLTW, AAPW, 정량적 분석, +동영상)
    2. 주식 투자에 특히 위험한 달은? 9월이다! (현상과 우연, 할로윈 효과는?)
    3. 외화 RP는 위험한가? (증권사가 RP를 운용하는 방법)
    4. [중급 21] 섀넌의 도깨비(Shannon's Demon) - 현실에서는 왜 찾기 어려울까?
    5. 커버드콜과 노벨상 (커버드콜에 투자하면 안 되는 간단하고 명확한 이유 + 노벨상을 받는 손쉬운 방법)
도움이 되었다면, 이 글을 친구와 공유하는 건 어떻까요?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