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상장된 주식이나 ETF에 투자하여 수익(또는 현금)이 발생하면 그 형식에 따라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세금이 부과됩니다. 배당금으로 받게 되면 배당금 전액에 대해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만일 수익이 난 상태에서 매도를 하게 되면 양도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둘 다 세금이라는 측면에서는 엇비슷해 보이지만, 기본 세율, 누진 세율 적용 여부, 원천 징수 여부, 과세 국가, 상황에 따른 신고 필요 여부, 손익 통산 가능 여부, 기본 공제 적용 여부 등 여러 측면에서 다른 점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동일한 금액의 현금을 손에 쥐더라도 세금이 달라지기에 투자자마다 유불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부동산과 같이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다른 자산도 그렇지만, 해외 상장 주식 또는 ETF에 투자할 때에도 본인의 투자 계획(방식이나 기간을 포함)과 투자 목적(자산 증식이나 현금 흐름 생성 등)에 따라 세금이 어떻게 과세되고 납부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이해해야 절세와 과세 이연 효과를 최대한으로 누릴 수 있는 방향으로 투자 또는 매매할 수 있습니다.
총 3편의 영상을 통해 해외 상장 주식과 ETF 위주로 세금에 대해 알아야 하는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 (이번 영상) 해외 상장 주식과 ETF에 부과되는 양도소득세란 무엇이며, 배당금에 과세되는 배당소득세와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가?
- 양도소득세를 절감하거나 과세 이연할 수 있는 손익 통산과 기본 공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적용되는가?
- 투자 목적에 맞춰 세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복수 계좌 활용법이란 무엇인가?
본 영상에서는 그 첫 편으로 해외 상장 주식과 ETF의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에 대해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봅니다.
- 과세 원천, 기본 세율 및 납부 시점
- 납부 국가 및 통화
- 양도소득세의 손익 통산과 기본 공제
- 과세 방식에 따른 차이 (금융소득종합소득 신고와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
[기초 31]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부과될까? (vs 배당소득세, 해외 상장 주식과 ETF) - https://youtu.be/ygndh-V414E
주요 슬라이드




관련 영상
- [기초 32] 양도소득세 절감 - 기본 공제와 손익 통산 (해외 상장 주식과 ETF) - https://youtu.be/8fccXTmgWwM
- [기초 33] 세금 절감을 위한 복수 계좌 관리법 (일반 과세 계좌, 국내 상장 해외 ETF, 해외 상장 ETF/주식, 선입선출 후입선출 이동평균)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최신 글)
- [현금흐름 U2] JEPQ vs QQQ - 세금 고려 커버드콜 현금 흐름 (1만 달러 기준, +동영상, +슬라이드)
- [현금흐름 U1] JEPI vs SPY - 세금 고려 커버드콜 현금 흐름 (1만 달러 기준, +동영상, +슬라이드)
- [투자 기초 27-29] 적립식, 복합식(거치식+적립식)으로 은퇴에 필요한 투자금 계산하기 (인플레이션 고려, +영상)
- 기초자산 = 커버드콜 + 적립식 (커버드콜로 은퇴 후 현금 흐름을 만들면 불리한 이유에 대한 손쉬운 설명, +동영상, +슬라이드)
- [현금 흐름 8]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1억원으로 현금 흐름을 만든다면, vs KODEX 미국나스닥100, 세금 고려, +동영상, +슬라이드)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기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