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는 S&P 5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당일 만기의 초단기 콜옵션을 발행하는 3세대 커버드콜입니다. 이 커버드콜로 만들 수 있는 세후 현금 흐름을 기초자산으로 간주할 수 있는 동사의 TIGER 미국S&P500 ETF로 배당 및 매도로 만드는 경우를 비교 분석해 봅니다.
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모두 과거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이 커버드콜이 현금 흐름 생성에 얼마나 효율적이었는지 살펴보고, 기초자산 대비 잔여 자산 규모도 비교해 봅니다. 두 상품의 동일 상장 기간에 대해 1억원을 투자했을 때, 일반 과세 계좌를 기준으로 동일한 세후 현금 흐름을 만들기 위해 실효 세율이 얼마나 부과되었는지도 함께 살펴봅니다.
일반 과세 계좌를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설명 및 분석합니다.
- 커버드콜: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 기초자산: TIGER 미국S&P500
- 분석기간: 2024년 5월 21일 ~ 2025년 10월 21일 (약 1.4년)
- 커버드콜 상장일 2024년 5월 21일에 1억원을 거치식으로 투자
- 배당소득세: 15.4%(국내)/15%(해외) (위클리 커버드콜의 프리미엄 배당금은 비과세)
- 양도소득세: 15.4%(국내)/22%(해외) (국내 주식형 ETF의 양도 차익은 비과세)
- 세금 미고려 배당 재투자 성과 비교
- 횡보장에서의 커버드콜과 기초자산의 성과 비교
- 세전, 세후 배당금 내역
- 동일한 세후 현금 흐름을 만들었을 때의 잔여 자산 추이
- 배당 또는 매도로 처분한 자산의 비율 추이
- 배당 또는 매도로 처분한 자사의 실질 세율
- 연환산 성장률로 환산한 잔여 자산과 상대 연 성장률
- 커버드콜의 기초자산 대비 누적 기회 손실액 및 연평균 기회 손실액
[현금흐름 4] TIGER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1억원으로 현금 흐름을 만든다면, vs TIGER 미국S&P500, 세금 고려) - https://youtu.be/ZQQSZsUFmuk
슬라이드 (영상 설명이 더 자세합니다)










관련 영상
- - S&P 500 ATM 데일리 커버드콜 (배당 재투자): https://youtu.be/hX_TawEflp4
- - 국내 상장 ETF의 과표기준가 해설: https://youtu.be/57WEuCkah8w
- - 실효 양도소득세율이 배당소득율보다 낮은 이유: https://youtu.be/pDI-qjAyaPA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최신 글)
- [현금 흐름 3] ACE 미국500데일리타겟커버드콜(합성) (1억원으로 현금 흐름을 만든다면, vs ACE 미국S&P500, 세금 고려)
- [현금 흐름 2]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 (1억원으로 현금 흐름을 만든다면, vs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세금 고려)
- [현금 흐름 1]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커버드콜2호 (1억원으로 현금 흐름을 만든다면, vs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세금 고려)
- [기초 23] 왜 주식에 장기 투자하라는 걸까? - 장기 투자에서 발생하는 위험 역전 현상 (+동영상, +슬라이드)
- [커버드콜 오해 10] 상승장에서 커버드콜이 기초자산보다 수익률이 낮은 진짜 이유 - 효율적 시장에서의 프리미엄 결정 (+동영상, +슬라이드)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기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