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99

이누야샤 수채화 스타일 그림 생성 사례 #5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이용한 블로그용 그림)

마이크로소프트 이미지 크리에이터(Image Creator; 이미지 생성기)로 블로그 글 주제를 표현할 수 있는 그림을 만드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미지 크리에이터 단독으로 사용한 사례입니다.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이미지 크리에이터에 적절한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그림을 생성합니다.마음에 드는 그림이 없으면, 재생성하거나 프롬프트를 수정해서 다시 만듭니다.마음에 드는 그림이 발견되면, (제 경우) 블로그에 넣기 좋은 가로 모드 그림을 추가로 여러 장 만들어서 선택합니다.상황에 따라 그리고 그날 기분에 따라 쓰는 툴이 다릅니다. 구글 제미나이(Gemini)로 그림을 보완해 가며 프롬프트를 만들어 구글 ImageFX에 넣어 그림을 생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글은 곧바로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이용해서 그..

블로깅 2025.04.04

[중급 8] 리밸런싱 빈도에 따라 결과의 불확실성은 어떻게 변하는가?

지난 글에서 리밸런싱 시점을 임의로 잡을 경우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를 왜 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제 이야기는 불확실성이 생긴다가 아닙니다. 리밸런싱에 의해 생기는 불확실성은 대개의 백테스트 결과에 제시되어 있지 않으니, 경우에 따라서는 해석할 때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뜻입니다. 지난 글: [중급 7] 백테스트 결과의 불확실성을 살펴보자 (확률 분포로 보는 CAGR의 불확실성)리밸런싱 결과의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일까요? 임의의 시점에 리밸런싱을 한다고 가정하면, 남는 변수는 리밸런싱 횟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리밸런싱 횟수가 결과의 불확실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봅니다.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

주식투자 2025.04.04

지브리 수채화 스타일 그림 생성 사례 #4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이용한 블로그용 그림)

블로그 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이미지 크리에이터(Image Creator; 이미지 생성기)를 사용하여 그림을 생성하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전 글과는 달리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단독으로 사용한 사례입니다.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이미지 크리에이터에 적절한 프롬프트를 입력하여 그림을 생성합니다.마음에 드는 그림이 없으면, 재생성하거나 프롬프트를 수정해서 다시 만듭니다.마음에 드는 그림이 발견되면, (제 경우) 가로 모드 그림을 추가로 여러 장 만들어서 선택합니다.이전 글에서는 구글 제미나이(Gemini)를 이용하여 적절한 그림이 만들어질 때까지 프롬프트를 점진적으로 보완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곧바로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이용해서 그림을 생성합니다.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이용한 그림 생성..

블로깅 2025.04.04

[중급 7] 백테스트 결과의 불확실성을 살펴보자 (확률 분포로 보는 CAGR의 불확실성)

지난 글에서 백테스트 결과 수치에도 불확실성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하였습니다. 합리적인 가정으로 하나의 결과만 나오도록 설계한 백테스트에는 불확실성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투자자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가정이 포함되면, 백테스트 수치는 하나의 숫자가 아니라 확률 분포를 만들게 됩니다. 지난 글: [중급 6] 백테스트 결과는 확실한 것일까? (리밸런싱에 포함된 불확실성)예로 든 주식과 채권을 이용한 자산 배분의 경우, 어느 시점에 리밸런싱을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물론 해당 백테스트의 설명에 언제 리밸런싱 하는 것으로 가정했는지 명시합니다. 그러니 해당 백테스트 결과 자체에는 불확실성이 없을 것입니다.하지만, 그 백테스트는 예를 들어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고 1년에 한 번씩 리밸런싱..

주식투자 2025.04.04

지브리 수채화 스타일 그림 생성 사례 #3 (제미나이 +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이용한 블로그용 그림)

블로그 글의 주제에 어울리는 그림을 만들기 위해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 서비스의 하나인 구글 제미나이(Gemini)와 마이크로소프트 이미지 크리에이터(Image Creator; 이미지 생성기)를 사용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제미나이를 사용하여 그림을 변형해 가며 점진적으로 만듭니다.마음에 드는 그림이 생성되면 프롬프트를 받습니다.프롬프트를 이용하여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그림을 여러 장 만들어 선택합니다.이전 글과 달리 ImageFX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제 용도에는 이미지 크리에이터의 결과물이 좀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제미나이를 이용한 점진적 그림 생성과 프롬프트 추출그림을 첨부하고자 하는 글은 최근에 올린 [중급 6] 백테스트 결과는 확실한 것일까? (리..

블로깅 2025.04.03

[중급 6] 백테스트 결과는 확실한 것일까? (리밸런싱에 포함된 불확실성)

지난 글에서 미래에 대한 수치는 물론 과거에 대한 수치도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미래에 대한 수치는 예측치이기에 불확실성을 포함할 수밖에 없습니다. 과거의 대한 수치도 수치 그 자체로는 확실할 수 있지만, 수치가 가지는 의미를 고려하면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난 글: [중급 5] 수치는 항상 확실한가? (미래 수치의 불확실성과 과거 수치의 불확실성)백테스트로 도출한 수치는 어떨까요?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가 상장된 1993년에 거치식으로 투자했다면, 2025년 4월 2일까지의 CAGR은 10.25%였습니다. 10.25%라는 이 수치는 불확실성이 없는 것일까요? 만일 없다고 믿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SPY와 미국 장기 채권 ETF인 TLT에 6 : 4..

주식투자 2025.04.03

짜장 한 그릇에 제갈세가 데릴사위 (코믹 무협 웹소설/웹툰) [완결]

짜장 한 그릇에 제갈세가 데릴사위는 중국 무협으로 회귀한 전직 요리사가 요리로 무협 세계를 평정(?)하는 코믹 하렘물 웹소설입니다. 이 웹소설의 백미는 글에 있지 않습니다. 원작을 파괴적으로 재해석하여 그린 웹툰에 있습니다. 약간 수위가 있는 12세 관람가입니다.연재처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8988061) 짜장 한 그릇에 제갈세가 데릴사위객잔에서는 당연히 소면(素麵) 아닌가? 하겠지만. 솔직히 그건 무림 아니, 중원을 몰라서 하는 소리. 우리가 무협지에서 많이 보았던, ‘여기 소면 한 그릇 내오시게’ 하는 ...series.naver.com네이버 시리즈 - 웹툰 (https://comic.naver.com/webt..

2025.04.03

결혼적령기 무림교관 (코믹 먼치킨 무협 웹소설/웹툰) [완결]

결혼적령기 무림교관은 회귀한 먼치킨이 결혼하고 싶은 여자를 찾아 무림맹 교관으로 임관하면서 생기는 이런저런 황당한 에피소드를 유쾌하게 소개하는 웹소설입니다. 코믹한 먼치킨 스타일의 무협물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만족스러울 것입니다.연재처이 웹소설은 완결되었고, 2025년 4월 3일 현재 카카오페이지와 리디북스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카카오페이지 (https://page.kakao.com/content/59351294) 결혼적령기 무림교관“무조건. 절대. 꼭 나이는 스물다섯이어야 해.”무림의 운명이 걸린 생사대전 끝에 과거로 회귀한 초운휘이번 생은 전생에서 최후까지 같이 싸웠던 연인을 찾는 데 주력하기로 한다“내가 꼬page.kakao.com리디북스 (https://ridibooks.com/books/38220..

2025.04.03

지브리 수채화 스타일로 밝은 그림 그리기 (제미나이 + ImageFX + 이미지 크리에이터)

구글 제미나이(Gemini)로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의 그림을 단계적으로 만들어서, 적절한 프롬프트 구하고, 구글 ImageFX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이미지 크리에이터(Image Creator; 이미지 생성기)로 여러 장의 그림을 얻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블로그 그림에 좀 더 적합하게 지브리 수채화 스타일로 만드는 방법을 함께 소개합니다. 개인적으로 지브리 스타일의 그림은 마음에 들기는 하지만, 주제를 나타내기 위해 블로그 글에 첨부하는 용도로는 부담스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화면 전체에 꽉 차게 배경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고, 셀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질감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특정 색상 위주로 표현되어, 효율적인 정보 전달에 다소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이러한 단점을 완화하는 방..

블로깅 2025.04.02

지브리 스타일 그림 생성 사례 #2 (제미나이, ImageFX,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이용한 블로그용 그림)

블로그 글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첨부하는 그림을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 서비스를 이용하여 만드는 사례를 소개합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구글 제미나이(Gemini)를 사용하여 그림을 변형해 가며 점진적으로 만듭니다.마음에 드는 그림이 생성되면 프롬프트를 받습니다.프롬프트를 이용하여 구글 ImageFX나 마이크로소프트 이미지 크리에이터(Image Creator; 이미지 생성기)로 그림을 여러 장 선택합니다.제미나이를 이용한 점진적 그림 생성과 영문 프롬프트 추출그림을 첨부하고자 하는 글은 최근에 올린 [중급 5] 수치는 항상 정확한가? (미래 수치의 불확실성과 과거 수치의 불확실성)입니다. 모든 수치에 어떤 이유로든 불확실성이 포함되어 있는 이유를 설명하는 글입니다.글의 주제 표현을 위해 첨부하..

블로깅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