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75

[투자 기초 4] 왜 장기 투자 성과는 로그 스케일로 봐야 할까? (+동영상)

투자자는 투자하고 있는 또는 투자하고자 하는 자산의 지난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주가 추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차트(chart)를 확인합니다. 엑셀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본인의 투자 자산의 평가액을 시점별로 기록하고 그래프로 그 변화를 살펴보기도 합니다.자산의 규모 또는 수익률을 변화를 차트로 살펴볼 때 세로축 눈금값의 간격과 간격이 일정하면 일반 스케일 또는 선형 스케일(linear scale)입니다. 예를 들어 10% 단위로 눈금이 매겨져 있고, 그 간격이 같은 경우입니다. 하지만 자산의 가격은 복리로 변합니다. 자산의 가격은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기에, 선형 스케일 그래프를 사용하면 최근일수록 그 변화가 과장되어 표현됩니다.이러한 시각적 착시를 제거하고, 전체 기간의 추이..

주식투자 2025.09.21

[투자 기초 3] 왜 TR(Total Return; 배당 재투자 수익률)로 비교해야 할까? PR(Price Return)을 쓰면 어떤 착시가 발생할까? (+동영상)

투자자는 항상 어디에 투자할지 고민합니다. 이미 투자한 또는 앞으로 투자할 자산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1차적으로 과거 수익률을 확인합니다. 자산을 비교하기 위해 수익률을 살펴볼 때에는 배당금과 세금을 고려한 실수익률로 평가해야 합니다. 배당금을 반영하지 않으면 수익률이 과소평가되고, 세금을 고려하지 않으면 수익률이 과대평가되기 때문입니다.세금은 투자자, 자산, 투자 방식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심지어는 같은 상품도 어떻게 매매하느냐에 따라 적용되는 실효 세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세금은 투자자 각자에 맞춰 고려해야 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

주식투자 2025.09.21

[투자 기초 2] 왜 시장 전체에 투자하라는 걸까? - 액티브 펀드 vs 패시브 펀드 (SPIVA 통계, +동영상)

자산 배분 전략을 권하는 장기 투자 입문서를 보면 개별 종목을 선별하여 투자하지 말고 주식 시장 전체에 투자하라고 합니다. 주식 시장에는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는 종목이 매우 많습니다. 국내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회사는 800개가 넘습니다. 일반 투자자가 모든 종목 또는 충분히 많은 수의 종목을 적절한 비중까지 고려하여 투자하는 것은 가능한 일일까요?얼핏 생각하기에는 주식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이야기로 들립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해 주는 상품이 있기 때문입니다. 시장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passive) 펀드(fund) 또는 ETF(Exchanged Traded Fund)입니다.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

주식투자 2025.09.21

[투자 기초 1] 왜 분산 투자하라는 걸까? - ETF(펀드)는 무엇일까? (+동영상)

많은 투자 입문서가 초보 투자자에게 펀드(fund) 또는 ETF(Exchanged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로 투자를 시작하길 권합니다. 펀드와 ETF에 어떤 특성이 있기 때문일까요? 펀드는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여러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실적 배당형 금융 상품입니다. ETF 이름에 펀드라는 단어가 들어있습니다. ETF는 펀드를 증권거래소를 통해 일반 주식처럼 쉽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그러니 ETF는 펀드의 특별한 형태입니다.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

주식투자 2025.09.21

국내 주식에 환율 효과 추가하기 - KIWOOM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 KODEX 레버리지 (정량적 분석, +동영상)

지금은 상장 폐지된 KB자산운용의 KRX300미국달러선물혼합 ETF는 국내 주식과 환율과의 강한 음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변동성을 낮춘 ETF입니다. 상장 기간 동안 환율까지 상승했기에 비교 대상인 KRX 300 지수를 추종하는 KODEX KRX300보다 높은 수익률을 더 낮은 변동성으로 얻었습니다.국내 주식에 환율 효과를 더할 수 없을까? KBSTAR KRX300미국달러선물혼합 + KODEX KRX300 정량적 비교 분석 - https://youtu.be/AV5Z1D5rRYg 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

주식투자 2025.09.17

코스닥은 코스피에 비해 얼마나 위험했을까? KODEX 코스닥150 + KODEX 200 (정량적 분석, +동영상)

한국의 코스닥(KOSDAQ) 시장은 미국 나스닥(NASDAQ) 시장을 롤 모델로 만들어진 주식 거래 시장입니다. 미국 증시 성장에는 나스닥이 큰 기여를 했지만, 한국의 코스닥은 그렇지 못했습니다. 1996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코스닥 지수는 1,000인데, 2025년 9월 17일은 845로 배당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약 30년간 성장은커녕 원금 손실이 발생했습니다.더욱이 코스닥 시장의 변동성은 코스피(KOSPI) 시장보다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금융 상품은 위험할수록 기대 수익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코스닥은 동일한 국가의 주식 시장인 코스피에 비해 위험은 높으면서 수익률은 낮은 기묘한 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원화 예금과의 분산 투자가 코스닥 150 지수 ETF에 100% 비중으로 투자하는 것보..

주식투자 2025.09.17

초고배당 커버드콜 배당금으로 원금 회수에 얼마나 걸릴까? - 배당금을 얼마나 받게 될까? (+동영상)

성장률보다 배당률이 높은 상품을 초고배당 상품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성장률이 연 20%인 자산이 연 50%를 배당하는 경우입니다. 배당 후 자산의 가격은 매년 20% - 50% = -30%씩 복리로 감소합니다. 초고배당 상품은 커버드콜이 많으며, 레버리지에 기반한 상품도 출시되어 있습니다.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모두 과거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얼..

주식투자 2025.09.15

버퍼(buffer) ETF는 과연 효용이 있었을까? - Innovator의 버퍼 ETF 상품으로 본 버퍼 ETF의 효과 (정량적 분석, +동영상)

버퍼(buffer) ETF는 파생 상품을 이용하여 하락 방어 효과를 명확하게 설정한 ETF입니다. 다양한 종류의 버퍼 ETF를 출시한 Innovator의 경우 버퍼의 크기를 달리하여 일반, 파워, 울트라 제품군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각각 -9%, -15%, -5% ~ -35% 손실 방어가 가능합니다.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버퍼 ETF는 상승폭에 제한이 있습니다. 대개 10% 초반의 상승 캡(cap)을 가지고 있습니다.흔히 하락장에서 손실 방어가 가능하다고 알려진 커버드콜 ETF는 대부분 실질적으로는 의미 있는 효과가 없습니다. 커버드콜의 구조상 높은 수준의 하락장 방어 효과는 애초에 불가능합니다. 이는 데이터로 분석해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참고 동영상: 커버드콜은 왜 하락장에서 기초자산만큼 떨어질까?..

주식투자 2025.09.14

국내 주식 투자자는 금을 보유하면 어떤 효과가 있었을까? (EWY=KODEX 200 + GLD) (정량적 분석, +동영상)

지난 두 편의 영상을 통해 금(gold)은 오랜 기간에 걸쳐 주식과 보완성이 높은 보조 자산이었음을 살펴보았습니다. 주식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경제 위기 기간에 금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기에, 금을 주식과 함께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면 포트폴리오 안정성을 높이는데 유용했습니다.그래프 출처 (동영상)GLD (금 현물 ETF) + SPY - 수익률을 유지하면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던 조합 [환율을 고려한 정량적 자산 비교와 분산 투자 효과 분석]GLD (금 현물 ETF) + QQQ - 예금 대신 고려할 수 있었던 GLD [환율을 고려한 정량적 자산 비교와 분산 투자 효과 분석]위 두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국 주식인 SPY, QQQ와 금(GLD)의 분산 투자 효과는 매우 높았습니다. 한국 주식은 어떨까..

주식투자 2025.09.14

라운드힐의 저배율 레버리지 기반 고배당 ETF (NVDW, TSLW, PLTW, AAPW, 정량적 분석, +동영상)

라운드힐(Roundhill)의 위클리페이(WeeklyPay) 상품은 (현재까지는) 개별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1.2배 레버리지로 투자하면서, 기초자산 대비 초과 수익을 매주 배당하는 ETF입니다. 단기적으로 상승세가 기대되는 종목에 낮은 레버리지 배율로 투자하면서 초과 수익을 빠르게 회수하고자 할 때 고려해 볼 수 있는 투자 상품입니다.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주식투자 2025.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