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세 가지 자산에 분산 투자한 결과를 살펴보자 (+재사용을 위한 함수 정의) [파이썬 분석 8]

오렌지사과키위 2025. 4. 14. 17:00

지난 글에서 변동성이 있는 두 자산의 혼합 포트폴리오를 평균-분산 그래프에 나타내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셋 또는 그 보다 많은 수의 자산을 투자에 고려하고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방식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다만, 투자 가능한 자산의 수가 늘어날수록, 분석 결과가 더 복잡해 보일 수 있기에, 초보 분석가는 자산을 하나씩 추가해 가며 변화를 관찰하면서 분석해 보기를 권합니다.

이 글에서는 특성이 다소 다르다고 할 수 있는 주식, 장기 채권, 그리고 금에 분산 투자했을 때의 효과를 평균-분산 그래프에 나타내어 살펴봅니다.

공지: 책 출간으로 인해 부분 공개로 전환합니다. 보다 이해하기 쉽게 수정 보완한 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책 소개:파이썬으로 그려보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정량적 투자 분석을 위한 입문서)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모두 과거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세 자산을 평균-분산 그래프에 나타내 보기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평균-분산 그래프에 나타낸 SPY, TLT, GLD

재사용을 위한 함수 정의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함수를 정의한 셀, 데이터를 가져오는 셀, 그래프를 그리는 셀

함수의 재사용하여 만든 복수 자산 혼합 포트폴리오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SPY, TLT, GLD 혼합 포트폴리오
두 자산 또는 세 자산에 분산 투자한 결과

정리하며

세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경우로 평균-분산 그래프를 그려 보았습니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함수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그림으로는 그럴듯하게 만들었지만, 투자자가 최종적으로 궁금한 것은 개별 자산의 투자 비중이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이나 괜찮아 보이는 포트폴리오의 구체적인 자산의 투자 비중일 것입니다.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만일 투자자가 고려하고 있는 투자 비중이 있다면, 그래프에서 어디쯤 해당될까요? 이어지는 몇 편의 글에서 살펴봅니다.

참고: 연재와 관련한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을 드리거나 이후 연재에서 다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고 서적: 왜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라는 걸까? - 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에 대한 통계학적 시각

이어지는 글: [파이썬 분석 9] 세 가지 자산에 분산 투자한 결과를 분석해 보자 (+결과 재사용을 위한 함수 정의)

연재 목록: 자산 배분 분석 방법 책 소개, 연재글 및 사례 모음 [목록]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최신 글)

  1. [파이썬 분석 7] 두 가지 자산을 혼합해 보고, 수익률 분포의 변화를 살펴보자
  2. [파이썬 분석 6] 산점도(scatter plot)에 자산의 특성을 나타내고, 예금과 혼합 효과도 표현해 보자
  3. [파이썬 분석 5] 환율을 적용해 보고 어떤 변화가 발생했는지 살펴보자
  4. [파이썬 분석 4] 수익률의 기초 통계량을 추출해 보고 확률 분포를 그려보자
  5. [파이썬 분석 3] 누적 수익률로 그래프로 그려 보자 (로그 스케일에 수익률을 표현하는 방법)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기 글)

  1. 챗GPT(ChatGPT)로 사진을 지브리 만화 스타일로 변환하기
  2. 스튜디오 지브리 만화 스타일로 그림 그리기 (구글 제미나이 + ImageFX)
  3. 스튜디오 지브리 만화 스타일로 그림 그리기 (구글 제미나이)
  4.  구글 제미나이(Gemini)를 이용한 그림 생성하기 (vs. 마이크로소프트 이미지 크리에이터의 이미지 생성 AI)
  5. 챗GPT(ChatGPT)로 사진을 지브리 vs 이누야샤 만화 스타일로 변환한 사례 비교 (인물 사진 #3)

 

도움이 되었다면, 이 글을 친구와 공유하는 건 어떻까요?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