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76

해외증권세전합병입금 (상장 폐지로 인한 매도 대금, 한국투자증권 미니스탁)

한국투자증권의 미니스탁으로 시가 총액이 높은 미국 배당주 위주로 소소하게 배당주 포트폴리오를 하나 운용하고 있습니다. 종목당 몇 만원씩 100여 종목을 문어발 형태로 편입한 포트폴리오이고, 배당금이 모이면 새로운 종목을 추가 매수합니다. 현재까지의 성과는 시장 대비 상당히 낮습니다. 몇 년간 미국 증시가 그렇게나 좋았음에도 원금도 아직 회복하지 못한 수준입니다.이 포트폴리오는 매일매일 평가액이 가장 높은 종목을 소액 매도하고, 평가액이 가장 낮은 종목을 소액 매수합니다. 안정적인 배당주에는 적용하면 괜찮을 듯한 전략으로 느껴지지만, 제가 4년 정도 운영해 본 경험으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피터 린치의 말대로, "수익이 나는 종목은 계속 키우고, 손해 보는 종목은 빨리 잘라야 한다. 꽃은 뽑고 잡초에 물을 ..

주식투자 2025.07.01

Why Log Return Is Time, Not Return — and Why It Still Works as a Return [English]

IntroductionIn the past two posts, I introduced logarithms and the log-normal distribution—key concepts in investment analysis—and explained why taking the log of a ratio isn’t literally a return but a measure of investment duration.[Intermediate 34] Logarithms and log scales in investing — why use logs [Korean][Intermediate 35] Log-normal distribution — why it matters in finance [Korean]In inve..

주식투자 2025.07.01

[중급 48] 투자에서 분석과 예측의 역할은 무엇일까? (퀀트 투자는 주관적 판단이 배제된 투자일까?)

지난 몇 편의 글을 통해 통계적 분석은 과거에 대한 요약이지 미래에 대한 예측이 아님을 살펴보았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투자자는 과거 데이터를 참고하여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무엇이 추가로 고려하기에 통계량을 투자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인지, 더 나아가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 객관적 투자라고 이야기하는 퀀트 투자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중급 45] 투자 전략 비교의 신뢰성 평가는 신뢰할 수 있는 것일까?[중급 46] 통계적 검정은 어떤 원리일까? (대응 표본 t-검정; paired t-test) - 검정은 미래를 예측하는 분석이 아니다[중급 47] 통계량은 왜 예측이 아닌가? (분석 기간에 따른 검정 결과의 변화 사례)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

주식투자 2025.06.29

[중급 47] 통계량은 왜 예측이 아닌가? (분석 기간에 따른 검정 결과의 변화 사례)

지난 글에서 통계적 검정의 원리와 신뢰 구간(confidence interval)의 의미를 살펴보았습니다. 통계적 검정은 과거 데이터에 대한 요약이지, 미래를 예측하는 도구가 아님을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는 통계적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 근본적인 원인은 현실에서 통계적 경향이 단기간에 변하지 않을 수 있으며, 통계적 분석 결과가 과거 데이터에 대한 설명이라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글: [중급 46] 검정은 어떤 원리일까? (대응 표본 t-검정; paired t-test) - 검정은 미래를 예측하는 분석이 아니다이 글에서는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례로 이러한 현상을 살펴봅니다.주의: 이 글은 특정..

주식투자 2025.06.28

[중급 46] 통계적 검정은 어떤 원리일까? (대응 표본 t-검정; paired t-test) - 검정은 미래를 예측하는 분석이 아니다

지난 글에서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 투자 성과 비교 결과는 과거 데이터에 국한한 설명이지, 이를 미래에 대한 예측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통계적 검정 결과도 마찬가지입니다. 과거 데이터에 대해 두 전략 A와 B의 성과 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을 가졌는지 판별하는 것이지,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고 해서 미래에도 동일한 경향이 지속된다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미래는 예측이라는 다른 방식으로 추정해야 합니다. 지난 글: [중급 45] 투자 전략 비교의 신뢰성 평가는 신뢰할 수 있는 것일까?이 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 평가의 원리를 살펴봅니다.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주식투자 2025.06.27

[중급 45] 투자 전략 비교의 신뢰성 평가는 신뢰할 수 있는 것일까?

투자 성과 분석의 핵심 주제의 하나인 투자 전략 비교와 신뢰성 평가에 대해 조금 자세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어떤 투자자가 지난 20년간의 데이터로 백테스트(backtest) 하여 시장 수익률 대비 연 5% 복리 수익률이 높은 자산, 포트폴리오, 또는 전략을 발견했습니다. 미래에도 그 정도 차이가 이어질 거라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까요?이와 관련해서 근본적으로는 신뢰하기 어렵다는 뉘앙스의 글을 몇 편 연재했습니다.[중급 30] 두 자산의 미래 수익률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 (정말 다른지 판별할 수 있을까?)[중급 31] 장기 경향이 비슷하면서 수익률 차이가 난다면 다르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 (정말 동일하다고 판별할 수 있을까?)[중급 32] 놀랍다고 말할 수 있는 정도는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

주식투자 2025.06.26

내부수익률을 이용한 국내장 소형주 퀀트 투자 수익률 평가 (2025년 6월)

국내 소형주를 대상으로 2024년 7월 8일부터 2025년 6월 20일까지 약 12개월간 적립식으로 퀀트 전략을 운용한 성과를 수익률 측면에서 살펴봅니다. 이 글은 투자 수익률 추정에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사례로 제가 운용하는 퀀트 투자 운용 결과를 사용합니다. 특정 퀀트 투자 전략에 대한 소개나 운용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 아닙니다.내부수익률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활용 방법은 책 《내부수익률: 당신의 실질 투자수익률 - 적립식 투자자와 은퇴자를 위한 현금 흐름을 고려한 수익률 계산법》을 참고하기 바랍니다.주의: 투자 기간이 짧고 운용한 전략의 특성상 성과 분석에 대한 신뢰성은 낮습니다. 설명을 참고하기 바랍니다.주..

내부수익률 - 당신의 실질 투자수익률 (적립식 투자자와 은퇴자를 위한 현금 흐름을 고려한 수익률 계산법)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투자 기록을 관리하고 있지만, 본인의 실질 투자 수익률이 얼마인지 궁금한 투자자라면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부수익률은 투자금의 증액과 현금 인출을 시점까지 고려한 복리 수익률이며, 거치식을 가정한 시장 또는 벤치마크 수익률과 비교할 수 있는 수익률입니다. 《내부수익률 - 당신의 실질 투자수익률》은 내부수익률의 개념부터 구글 시트와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을 이용한 계산 방법 및 구체적인 활용과 해석까지 상세하게 설명합니다.참고: 제 모든 책은 연재글과 일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큰 흐름이나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에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문장을 재구성하고, 미흡했던 설명을 추가하고, 불필요한 내용은 제외합니다. 연..

[중급 44] 두 자산이 다르다면 평균-분산 그래프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하나씨와 두나씨는 무엇이 달랐던 것일까? - 해의 공간과 최적화)

지난 글에서 두 자산이 다르다는 것이 무엇인지 수익률 특성 관점에서 정의해 보았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실용적인 관점에서는 특정 자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자산으로 변경했을 때, 포트폴리오에 유의미한 변화가 발생한다면, 두 자산은 다르다고 판별할 수 있습니다. 지난 글: [중급 43] 두 자산이 동일하다는 것은 어떻게 판별할 수 있을까? (다른 동전을 던져 만든 주가 그래프는 같은 것일까? 하나씨와 두나씨의 투자)SPY와 VOO가 같은 자산이라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수식이 현실적인 수준에서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숫자를 곱하고 더하는 수식으로 보이지만, SPY와 VOO는 각각 해당 자산 수익률의 확률 변수(random variable)입니다. 수익률 분포에 대한 연산이라 보면 됩니다.SP..

주식투자 2025.06.24

[중급 43] 두 자산이 동일하다는 것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다른 동전을 던져 만든 주가 그래프는 같은 것일까? 하나씨와 두나씨의 투자)

두 자산의 과거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는지, 아니면 다르다고 이야기해도 되는지, 만일 다르다면 어느 정도의 신뢰도로 얼마나 다르다고 추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계학적 관점의 이야기가 투자 성과 분석 연재 중급편의 주된 주제의 하나입니다. 투자에서 가장 어려운 주제 중에 하나이며, 따져보면 자의적 가정이나 해석이 포함될 수밖에 없는 문제입니다.명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자산의 수익률을 어떤 단위 기간 예를 들어 매일의 종가로 측정한다고 할 때, 두 자산의 매일의 수익률이 항상 같거나 충분히 비슷했다면, 두 자산은 동일했다고 간주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동전을 계속 던져 나온 결과로 두 개의 그래프를 그린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SPY와 VO..

주식투자 202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