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왜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라는 걸까? - 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에 대한 통계학적 시각>에 대한 주요 교정 내역입니다. 이 글에서는 책을 읽는데 오해가 생길 수 있는 사항만 정리하였습니다. 이 글은 주요 교정 내역이 발생하면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초판
판권에 교정에 대한 정보가 없는 판입니다. 상당히 많은 오탈자가 있습니다.
전반적인 사항
그래프에서 반올림된 눈금값
몇몇 그래프의 눈금값이 반올림되어 있습니다. % 단위를 사용하면서 소수점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했습니다. 다음 예와 같이 눈금은 등간격이지만, 눈금값은 등간격이 아닌 경우입니다.
예: p.264, 그림 138. 시가 총액 상위 25개 미국 상장 ETF의 환율 효과
왼쪽 그림이 출판본에 있는 그래프이고, 실제 의미는 오른쪽 그림입니다. y축 값을 보면 (2%, 5%, 8%, 10%)로 되어 있지만, 표시하고자 했던 눈금값은 2.5% 등간격으로 (2.5%, 5.0%, 7.5%, 10.0%)입니다.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다음과 같이 교정할 계획입니다.
인적자산과 자산배분
인적자산의 가치는 얼마일까?
- p. 15 - 첫 번째 줄
- 전: 3,000만원 × (1 + 1.02⁹)
- 후: 3,000만원 × 1.02⁹
- p. 15 - 두 번째 줄
- 전: 3,000만원 × (1 + 1.02¹⁰)
- 후: 3,000만원 × 1.02¹⁰
왜 위험한 주식에 장기 투자해야 할까?
투자 효율 = 수익과 위험의 비
- p. 122 - 하단 9번째 줄
- 전: Δx / Δy = Δ수익률 / Δ위험
- 후: Δy / Δx = Δ수익률 / Δ위험
위험한 자산은 장기 투자에 불리할까?
- p. 147 - 그림 59 오른쪽 그림 (주식 상위 10%와 주식 하위 10% 범례가 바뀜)
- p. 148 - 그림 60 (상위 및 하위 범례가 바뀜)
투자성과 분석을 위한 통계학적 접근
자산을 혼합하면 어떻게 될까?
- p. 215 - 상단 3번째 줄
- 전: 표준 편차는 20% × a × 1 / 6 ≒ 3.33%
- 후: 표준 편차는 20% × a = 20% × 1 / 6 ≒ 3.33%
데이터로 살펴보는 분산투자의 효과
통계량의 큰 변동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 p. 282 - 그림 148 오른쪽 그래프
- 전: SPY + TLT 평균-분산 그래프
- 후: SPY(달러) + SPY(원화) 평균-분산 그래프 (p. 261 - 그림 135 또는 p. 284 - 그림 151 왼쪽 그래프와 동일)
사례와 부록
커버드콜 ETF는 기초자산보다 좋을까?
- p. 297 - 하단 6번째 줄
- 전: 예금 이하의 수익률을 얻을 확률은 10% 이상이지만,
- 후: 원금 손실이 발생할 확를은 10% 이상이지만,
- p. 300 - 하단 3번째 줄
- 전: P+10%은 오히려 P+3%보다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후: P+10%은 오히려 P+7%보다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p. 300 - 하단 3번째 줄
- 전: P+10%은 오히려 P+3%보다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 후: P+10%은 오히려 P+7%보다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교정버전 1.1
주요 변경 내역
이전 버전에 대한 주요 변경 내역을 다음과 같습니다.
- 오탈자를 수정
- 판권에 ISBN 및 교정버전 1.1 추가
- 고해상도 이미지로 교체
- 표 내용 정렬 및 서체 크기 조정
종이책(교보문고)에는 반영되었고, 전자책은 유페이퍼를 통해 업데이트를 요청했습니다.
왜 위험한 주식에 장기 투자해야 할까?
어떤 지표가 유리할까?
- p. 117 밑에서 두 번째 줄 (네이버 회원님 확인)
- 전: 자산의 가격 변화를 단 두 개의 수치로 충분한 정확하게 요약하는 것은
- 후: 자산의 가격 변화를 단 두 개의 수치로 충분히 정확하게 요약하는 것은
투자 성과 분석을 위한 통계학적 접근
다시 보자! 샤프 비율!
- p. 198 <3차원으로 그려본 평균-분산 그래프> 아래 두 번째 줄 (네이버 회원님 확인)
- 전: 예금 수익률은 b로
- 전: 예금 수익률은 4%로
자산을 혼합하면 어떻게 될까?
- p. 216 표 10의 저변동 주식 수익률 (네이버 회원님 확인)
- 전: 10%, 5%, 0%, 5%, 10%
- 후: 10%, 5%, 0%, -5%, -10%
사례와 부록
커버드콜 ETF는 기초자산보다 좋을까?
- p. 300 - 하단 3번째 줄
- 전: P+10%은 오히려 P+3%보다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 후: P+10%은 오히려 P+7%보다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교정버전 1.2
주요 변경 내역
이전 버전에 대한 주요 변경 내역을 다음과 같습니다.
- 오탈자를 수정
- 가독성이 높은 KoPub World 서체로 교체 (기존 마루 부리 서체)
종이책(교보문고)에는 반영되었고, 전자책은 유페이퍼를 통해 업데이트를 요청했습니다.
이벤트
구매자를 대상으로 서점사 서평 인증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세부 사항 및 신청 방법은 아래 네이버 블로그 글을 참고하세요.
'책 > 책 편집과 출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간 책 판매량 (2024년 12월 ~ 2025년 3월) (0) | 2025.02.06 |
---|---|
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오렌지사과의 불친절한 워크북)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0) | 2025.02.03 |
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 부록 A (출간 진행 상황) (0) | 2025.02.02 |
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관련 자료 (0) | 2025.01.29 |
왜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라는 걸까? (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에 대한 통계학적 시각)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4) | 2025.01.03 |
왜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라는 걸까? (출간 진행 상황) (0) | 2024.12.27 |
당신이 커버드콜에 장기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 (매년 100만원씩 손해보지 않는 방법)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0) | 2024.12.27 |
당신이 커버드콜에 장기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 (출간 진행 상황) (0)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