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형주를 대상으로 2025년 1월말까지 약 7개월간 퀀트 투자 전략으로 투자한 결과를 정리합니다. 전체 기간 투자 수익률은 7.8%이며, 벤치마크는 -1.6%였습니다. 기간이 짧고 운용 전략의 특성으로 인해 성과의 신뢰성이 낮습니다. 설명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아래는 퀀트 투자 수익률을 벤치마크와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벤치마크는 KOSPI 200 지수를 추종하는 KODEX 200TR ETF와 KOSDAQ 150을 추종하는 KODEX 코스닥150 ETF를 1 : 1로 일일 리밸런싱한 것입니다. 그래프에 벤치마크가 3개 있는데 각각은 아래와 같습니다.
- BM(Lump Sum): 2024년 7월 8일에 거치식으로 투자
- BM(DCA): 매일 동일한 금액을 적립식으로 투자
- BM(mDCA): BM(DCA)를 따르되, 최종 투자금으로 수익률 환산
퀀트 투자 전략을 적립식으로 운용하려고 이리저리 손을 대다 보니 조금 꼬였습니다. 대략 다음과 같이 운용하고 있습니다.
- 3개의 계좌를 만듭니다.
- 퀀트킹으로 투자 전략을 실행해서 선정된 종목을 1번 계좌에서 동일가중으로 점진적으로 투자합니다.
- 다음 달에는 투자금을 증액하고 같은 방법으로 2번 계좌에서 투자합니다.
- 다음 달에서 투자금을 증액하고 같은 방법으로 3번 계좌에서 투자합니다.
- 다음 달에서 1번 계좌의 보유 종목을 매도하고, 투자금을 증액하고, 같은 방법으로 1번 계좌로 투자합니다.
이렇게 하면, 3개월 단위로 리밸런싱 하는 독립적인 3개의 계좌를 운용하게 됩니다.
투자 성과는 기간이 짧고 투자금도 조금씩 증액하고 있어, 벤치마크와 직접적인 비교가 어렵습니다. 1년 정도는 지나야 의미 있는 비교가 가능할 듯합니다. 실험용이기에 투자 금액은 적습니다. 특정한 방법으로 운용하면 손이 얼마나 가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에서 보라색 점선으로 표시된 BM(mDCA)가 그나마 투자 전략과 비교해 볼만한 벤치마크입니다.
투자 전략의 변동성이 낮고, 벤치마크 대비 성과 차이가 점점 커지는 것처럼 보입니다만, 상당 부분 착시입니다. 최종 투자 금액으로 수익률을 계산하다 보니, 초기 투자 수익률 계산 시 현금 비중이 높게 잡혀서, 변동성이 낮게 나온 것입니다. BM(DCA)와 BM(mDCA)를 비교해 보면, BM(mDCA)의 변동성이 더 낮습니다. 거래 정지된 종목도 2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나무증권이 분석한 상대 수익률 순위입니다. 월간나무의 수익률 계산 방식이 사용하는 전략에 적절하지 않을 수 있지만, 상대적인 비교에는 유용한 듯합니다. 지난 기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월 | 내 수익률 | 전체 세대 수익률 | 등수 |
2025년 1월 | |||
2024년 12월 | 9.73% | -0.96% | 5등 |
2024년 11월 | -8.02% | -2.27% | 76등 |
2024년 10월 | -4.03% | 1.14% | 70등 |
2024년 9월 | 3.72% | -1.78% | 14등 |
2024년 8월 | 3.22% | -2.70% | 12등 |
2024년 7월 | -0.10% | -1.25% | 47등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데이터 분석 부록 A3]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인출식 투자 성과 추정 (구글 시트 편)
- [데이터 분석 부록 A2]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적립식 투자 성과 추정 (구글 시트 편)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데일리커버드콜 ETF를 직접 분석해 보세요
- [데이터 분석 부록 A1] 인플레이션 추정과 반영 (구글 시트 편)
- [데이터 분석 15] 투자 기간에 따른 위험 변화를 살펴보자 (구글 시트 편, feat. 미국배당다우존스 커버드콜)
- S&P 500 국내 ETF는 무엇이 좋을까? (국내 상장 ETF 9종 비교와 분석)
- 한국인은 커버드콜 ETF에 장기 투자해도 좋을까? - 커버드콜 ETF에 대한 글 모음
- 당신이 커버드콜에 장기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 (매년 100만원씩 손해보지 않는 방법)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 나스닥 100 국내 ETF는 무엇이 좋을까? (국내 상장 ETF 5종 비교와 분석)
- 국내 상장 나스닥 100 ETF는 QQQ와 성과가 동일할까?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과 주객전도 2 (배당성장과 ETF, 그리고 환율) (0) | 2025.02.02 |
---|---|
배당과 주객전도 1 (배당과 배당락, 그리고 계좌이체) (2) | 2025.02.02 |
[데이터 분석 부록 A3]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인출식 투자 성과 추정 (구글 시트 편) (1) | 2025.01.19 |
[데이터 분석 부록 A2]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적립식 투자 성과 추정 (구글 시트 편) (0) | 2025.01.19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데일리커버드콜 ETF를 직접 분석해 보세요 (0) | 2025.01.18 |
[데이터 분석 부록 A1] 인플레이션 추정과 반영 (구글 시트 편) (0) | 2025.01.12 |
[데이터 분석 15] 투자 기간에 따른 위험 변화를 살펴보자 (구글 시트 편, feat. 미국배당다우존스 커버드콜) (0) | 2025.01.12 |
[데이터 분석 14] 두 자산의 수익률 분포를 비교해 보자 (구글 시트 편, feat. 미국배당다우존스 커버드콜)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