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2교시 수업입니다. 솔솔 잠이 올 수 있지만 통계학은 알아두면 실생활에 요긴합니다. 이전 글에서 불확실성이 있는 수익률을 모델링하는데 정규 분포를 자주 사용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현실의 수익률 분포는 정규 분포와 어느 정도 비슷한 점이 있으며, 서로 독립(independence)을 가정하면 정규 분포의 합도 정규 분포가 되어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질은 분산 투자나 반복 투자를 모델링하기에 간편하면서 편리합니다. 이전 글: 투자 성과 분석의 초급 - 4. 왜 수익률 모델로 정규 분포를 사용할까?
정규 분포는 단 두 개의 숫자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평균과 표준 편차(또는 분산)입니다. 평균은 말 그대로 값들의 평균입니다. 표준 편차는 값들의 분포가 퍼진 정도입니다.
표준 편차에 대한 이야기는 항상 들을 때는 알겠는데, 나중에는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마치 1타 강사의 학원 강의를 들을 때에는 "내가 이렇게 똑똑하다니"라며 스스로 감탄하지만, 1주일만 지나면 "역시 난 아니구나"라고 느끼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는 표준 편차를 수식 위주로 이해했기 때문입니다. 수식을 보면 표준 편차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 수 있지만, 무슨 의미인지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대개의 이론은 용도를 알지 못한 상황에서 배우려고 하면 쉽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정규 분포의 핵심은 표준 편차입니다. 표준 편차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만 이해해도 실용적으로 충분합니다. 정규 분포에 대해 알아봅니다.
공지: 책 출간으로 인해 부분 공개로 전환합니다. 보다 이해하기 쉽게 수정 보완한 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책 소개: 왜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라는 걸까? (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에 대한 통계학적 시각)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모두 과거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정규 분포에서 표준 편차의 영향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정규 분포에서 표준 편차와 확률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정규 분포의 연산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정규 분포의 활용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정리하며
수익률 모델로 많이 활용하는 정규 분포의 특징과 활용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정규 분포는 표준 편차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계산하는 수식은 몰라도 별 문제가 없습니다.
N(8%, 12%²)이라는 정규 분포가 주어지면, 평균 수익률은 8%이며, 수익률은 95% 확률로 [8% ± 12% × 2] = [8% - 24%, 8% + 24%] = [-16%, 32%] 구간에 속할 거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현실적인 최대 손실률은 -16%이고(이보다 더 큰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2.5% 이하입니다.), 최대 수익률은 32%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평균 수익률은 8% 정도를 기대하지만, -16% 정도의 손실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수익률을 정규 분포로 간주하면 각종 연산이 편리해집니다. 인플레이션도 반영할 수 있고, 투자 비중에 따른 결과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현실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정규 분포 간 독립을 가정하면 분산 투자나 다년 투자 결과도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의미를 이해했다면 계산을 직접 할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에겐 귀한 시간을 아껴주는 인공지능 서비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어지는 글: 투자 성과 분석의 초급 - 6. 정규 분포로 보는 큰 수의 법칙 (S&P 500 지수의 수익률 분포는 정규 분포와 유사할까?)
목차: [연재글 목차] 투자 성과 분석 (기초편, 초급편): 순서대로 차근차근 읽으면 좀 더 이해가 쉽습니다.
책 출간 안내: 연재를 정리하여 수정 보완한 <왜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라는 걸까? (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에 대한 통계학적 시각)>이 출간되었습니다. 종이책(교보문고), 전자책(Yes24, 알라딘, 교보문고, 리디북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투자 성과 분석의 초급 - 4. 왜 수익률 모델로 정규 분포를 사용할까?
- 투자 성과 분석의 초급 - 3. 위험한 자산은 장기 투자에 불리할까? (기대 수익률과 수익률 분포로 보는 큰 수의 법칙)
- 투자 성과 분석의 초급 - 2. 어느 자산이 투자에 유리했을까? (KODEX 200과 SPY)
- 투자 성과 분석의 초급 - 1. (첫 편) 미국으로 출장 간 전사적 차장 (왜 통계학을 알아야 하는가?)
- 커버드콜 ETF 수익 구조의 본질 두 번째 이야기 - 변동성을 전가하려면 돈을 내야 한다고? (투자를 받으려는 엔비디냐의 황사장)
- S&P 500 국내 ETF는 무엇이 좋을까? (국내 상장 ETF 9종 비교와 분석)
- 외화 RP는 위험한가? (증권사가 RP를 운용하는 방법)
- QQQ5(QQQ 5배 레버리지)는 1년간 얼마나 녹았을까?
- 단리는 없다 (세상은 복리로 움직인다)
-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 연 20% 분배율 (나는야~ 불가능에 도전한다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버리지 투자 - 수익률을 높여 보자! 위험이 증폭되네? (안정적인 레버리지 투자를 위한 기본 요건) [초급 9] (0) | 2024.11.06 |
---|---|
장기 투자에서 왜 예금은 중요하지 않을까? (불확실성을 낮춰 보자 - 현금과의 혼합) [초급 8] (0) | 2024.11.05 |
정규 분포에서 표준 편차가 변하면 장기 투자에 어떤 현상이 발생할까? [초급 7] (0) | 2024.11.05 |
S&P 500의 수익률 분포는 정규 분포와 유사할까? (정규 분포로 보는 큰 수의 법칙) [초급 6] (0) | 2024.11.04 |
투자에서 수익률 모델로 왜 정규 분포를 사용할까? [초급 4] (0) | 2024.11.01 |
위험한 자산은 장기 투자에 불리할까? (기대 수익률과 수익률 분포로 보는 큰 수의 법칙) [초급 3] (0) | 2024.10.31 |
KODEX 200과 SPY 중 어느 자산이 투자에 유리했을까? (동일 최종 수익률 기간에 대해) [초급 2] (3) | 2024.10.31 |
투자에서 왜 통계학을 알아야 할까? (미국으로 출장간 전사적 차장) [초급 1] (2)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