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 (ETF 시장의 승자 독식과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선택 그리고 SPYI)

오렌지사과키위 2024. 4. 3. 15:33

출시가 확정된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신규 커버드콜 ETF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은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합성) (매일 초단기 콜옵션을 발행하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신규 커버드콜 ETF)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월단위로 고배당을 지급하는 인컴 ETF우후죽순처럼 쏟아지고 있습니다. ETF 이름에 커버드콜 또는 프리미엄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상품은 대개 인컴 ETF입니다.

어떤 단어가 들어가든지, 모두 기초 자산을 보유한 상태에서 콜옵션을 발행하는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합니다. 명칭에 대한 규정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기초 자산 전부를 커버드콜로 노출시키는 경우는 커버드콜,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프리미엄이라는 단어를 붙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4월 2일 기준으로 국내에 상장된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ETF는 총 15개입니다. 자산운용사별로 보면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가 8개로 가장 많고, 삼성자산운용 KODEX KB자산운용 KBSTAR가 각각 3개, 신한자산운용 SOL이 1개입니다.

ACE라는 ETF 브랜드를 사용하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은 ETF 시장에서 점유율 5.3%로 4위 업체입니다. 1, 2, 3위는 삼성자산운용(40.0%), 미래에셋자산운용(37.0%), KB자산운용(7.5%)입니다. 관련 기사: 총성 없는 ETF 전쟁…자산운용사, 시장 선점 ‘치열’ [이투데이]

한국투자신탁운용(줄여서 한투운용이라고 합니다)은 지금까지 커버드콜 ETF를 출시하지 않았는데, 이번 4월에 신규로 3종을 출시할 거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관련 기사: 판 커지는 커버드콜 ETF…"연 15% 배당 목표" [서울경제]

이 글에서는 ETF의 시장의 승자 독식 현상을 살펴보고,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출시하려고 하는 커버드콜 ETF 중에서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 ETF는 어떤 상품일지 추측해 봅니다.

 

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의미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기간이나 분석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인컴 ETF를 추천하는 글이 아닙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신규 상품은 정확한 정보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추측에 기반한 설명이니 실제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승자 독식과 독과점

대개의 상품은 소비자에게 주는 편익의 차이가 미미하다면, 혁신이 없는 경우 서서히 승자 독식 즉 독과점으로 흐르게 됩니다. 시장 점유율이 높은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은 규모의 경제로 인해 타사보다 생산 단가가 조금 낮기 때문입니다.

단가가 낮으면, 소비자에게 줄 수 있는 편익을 늘릴 수 있습니다. 가격을 내리거나, 사후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소비자가 해당 기업의 상품을 선택하게 되고, 기업의 점유율은 점점 커지게 됩니다. 늘어난 점유율은 다시 단가를 낮추고, 소비자에게 추가 편익을 제공하여 유인하는 포지티브 피드백을 형성하게 됩니다.

장기적으로는 독과점은 소비자에게 유리하지 않습니다. 어느 순간 경쟁이라는 것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경쟁이 사라지면, 독과점 기업이 제멋대로 가격을 올려도, 소비자는 대체 상품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사회적으로 독과점 또는 독과점화를 막기 위한 여러 법적 장치를 두게 됩니다.

ETF 시장에서의 승자 독식

국내 ETF 시장은 어떻까요? 독과점이 형성될 수 있는 시장일까요? 

KOSPI 200 지수를 추종하는 두 ETF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PODEX 200과 NICE 200이라 하겠습니다. 두 ETF는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기에 장기 성과는 차이가 없습니다. 그나마 단가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운용 보수 정도입니다.

두 ETF의 운용보수가 연 0.2%로 동일하다고 하겠습니다. PODEX 200이 시장의 80%, NICE 200이 시장의 20%를 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NICE 200이 운용보수를 0.1%로 낮추면 시장점유율을 뒤집을 수 있을까요?

장기투자자만 있다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연 0.1%의 차이는 10년이면 1% 정도의 차이를 만듭니다. 보유한 PODEX 200을 모두 매도하고, NICE 200으로 갈아타면 1%를 버는 셈입니다. 매매수수료가 발생하겠지만, 1%의 이득에 비해서는 미미하다고 하겠습니다.

분명한 이익처럼 보이지만, 실은 불투명합니다. 다음 달에 PODEX 200도 0.1%로 운용보수를 낮춘다면, 괜히 수고만 들고, 매매수수료만 날린 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장기투자자라고 하더라도 일부만 이동합니다.

단기투자자는 어떻까요? 단기투자자는 짧게는 하루나 며칠, 길게는 몇 주일 정도만 ETF를 보유할 것입니다. 연 0.1%의 운용보수 차이는 0.01% 이하의 수익률 차이가 됩니다. 그러니 미미한 운용보수 차이는 의미 있는 편익을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이 보다는 해당 ETF가 지수를 얼마나 정밀하게 추종하느냐와 매수매도의 호가차이가 더 중요합니다.

아래는 전형적인 단기 투자용 ETF라 할 수 있는 KODEX 레버리지(이하 KODEX)와 ACE 레버리지(이하 ACE)의 장중 호가창입니다. 두 ETF는 모두 KOSPI 200 레버리지 지수를 추종합니다. KODEX의 시가총액은 1.9조원으로 ACE의 시가총액 104억원보다 192배 정도 많습니다.

KODEX의 매수매도 호가 차이는 5원으로 0.03%입니다. 이에 비해 ACE는 호가 차이는 15원으로 0.18%입니다. 시장가로 KODEX를 매매하면, 최악의 경우라도 0.03% / 2 = 0.015% 손실이 발생하지만, ACE는 0.18% / 2 = 0.09%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용보수는 KODEX가 0.68%, ACE가 0.30%입니다. 단기투자자는 운용보수에 민감하지 않으니, 가격이 안정적인 KODEX로 쏠릴 수밖에 없습니다.

아래는 KOSDAQ 150 레버리지 지수를 추종하는 시가총액이 가장 큰 ETF인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이하 KODEX)와 TIGER 코스닥150레버리지(이하 TIGER)의 20거래일 거래대금 이동평균의 비입니다. 세로축은 로그축이며, 한 칸은 4배입니다.

두 ETF는 동일한 날짜에 출시되었습니다. 출시 후 대략 1년간은 2⁰ = 1배로 거래 금액이 엇비슷했습니다. 이후 KODEX의 상대적인 거래 비중이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2019년 이후로는 KODEX는 대략 2⁶ = 64배 정도 TIGER에 비해 거래대금이 큽니다. 시가총액은 9,078억과 493억원으로 18배 정도 차이가 납니다.

단기 투자용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ETF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관측됩니다. 아래는 동일한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추종하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이하 TIGER)와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이하 SOL)의 20거래일 거래대금 이동평균의 비입니다.

SOL의 상장일은 2022년 11월 15일로, TIGER의 2023년 6월 20일보다 7개월 정도 빠릅니다. 분명히 선점 효과가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단기 투자 성격보다는 장기 투자 성격이 강한 ETF의 경우에는 선점 효과가 높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TIGER는 출시 초기부터 인기몰이를 했습니다. TIGER의 거래대금은 SOL의 2.7배 정도입니다. 시가총액은 SOL이 4,906억원, TIGER가 7,023억원으로 TIGER가 1.4배 정도입니다. TIGER는 후발 주자임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한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SOL이 배당다우존스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첫 ETF는 아닙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미국배당다우존스(이하 ACE)는 SOL보다 1년 이상 이른 2021년 10월 21일에 상장했습니다. ACE가 먼저 출시되었음에도 시가총액은 2,747억원으로 SOL보다 작습니다.  

국내 ETF 시장에서 시장 전체는 아니지만, 동일한 상품이라 할 수 있는 ETF 간에는단기 투자 성격이 높을수록 독과점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선택 

아래는 네이버페이 증권의 ETF 중에서 커버드콜 또는 프리미엄이라는 단어가 붙은 15개 ETF의 목록입니다. (2024년 4월 2일 기준) 

종목명 상장일 시가총액 (억원)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2023. 6. 20. 5,045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2022. 9. 22. 3,268
TIGER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H) 2024. 2. 27. 1,966
TIGER 미국테크TOP10+10%프리미엄 2024. 1. 16. 1,907
TIGER 배당프리미엄액티브 2023. 12. 12. 1,186
KODEX 테슬라인컴프리미엄채권혼합액티브 2024. 1. 23. 1,130
SOL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2023. 12. 27. 1,071
TIGER 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 2023. 6. 20. 512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액티브 2022. 9. 27. 484
KODEX 미국S&P500배당귀족커버드콜(합성 H) 2017. 8. 10. 429
KBSTA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합성) 2023. 12. 14. 356
KBSTAR 200위클리커버드콜 2024. 3. 5. 315
TIGER 200커버드콜ATM 2018. 2. 9. 270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 2018. 2. 27. 105
TIGER 200커버드콜5%OTM 2012. 10. 25. 68

2023년과 2024년에 상장된 ETF는 날짜를 빨간색으로 표시했습니다. 대부분이 올해 또는 작년에 신규 상장된 ETF입니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최근 2년까지로 기간을 넓히면 시총상위 9개 종목이 포함됩니다. 그 이전에 출시된 상품은 4개에 불과합니다.

자산운용사별로 보면 미래에셋자산운용TIGER가 8개로 가장 많고, 삼성자산운용KODEXKB자산운용KBSTAR가 각각 3개, 신한자산운용SOL이 1개입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가장 적극적이며, 삼성자산운용과 KB자산운용도 꽤 오래전부터 (대략 6년) 커버드콜 ETF를 출시해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신한자산운용은 최근인 2023년 12월에 이 시장에 참가했습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어떤 상품을 신규로 출시하는 것이 유리할까요? 미래에셋자산운용처럼 시장규모가 큰 미국배당다우존스에 커버드콜을 가미한 상품이 유리할까요? 아니면 기존 상품과 차별화가 가능한 상품이 유리할까요?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출시하기로 예상되는 상품은 아래 세 가지입니다.

주의: 정확한 출시 일자와 상품에 대한 정보가 확정 또는 공개되어 있지 않기에 추측에 기반한 설명입니다. 

  •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
  • ACE 미국반도체 15%프리미엄분배
  • ACE 미국빅테크7+ 15%프리미엄분배

세 가지 상품은 각각 S&P 500, 미국 반도체, 미국 빅테크 7+(M7+; Magnificent 7+)을 기초 자산으로 두고,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빅테크7+는 7개의 빅테크 기업을 주축으로 하되, 최소 10개의 종목을 편입해야 하는 ETF 규정을 따르기 위해 7+이 됩니다.

이 중에서 제가 관심이 있는 상품은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입니다. 이름에서 유추하기로는 S&P 500 지수를 기초 자산으로 두고,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여 분배금을 마련하는 ETF로 보입니다.

전통적인 커버드콜 ETF vs 신형 커버드콜 ETF

S&P 500 지수에 대한 커버드콜 ETF의 대부분은 성과가 그다지 우수하지 않았습니다. 아래는 Global X의 S&P 500 커버드콜 ETF인 XYLD의 성과 그래프입니다. 배당 재투자를 가정하였습니다. 출처: XYLD vs SPY

XYLD vs SPY

XYLD의 연수익률 CAGR은 SPY의 절반이 되지 않습니다. 커버드콜 전략을 쓰는 전통적(?)인 ETF는 모두 비슷합니다.

아래는 나스닥 100 지수의 커버드콜 ETF인 QYLD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의 성과 그래프입니다. 출처: QYLD vs QQQ,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vs TIGER 미국나스닥100

QYLD vs QQQ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이런 종류의 커버드콜 ETF를 출시한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러니 뭔가 조금 더 나은 커버드콜 ETF를 계획하고 있을 거라 추정할 수 있습니다.

SPYINEOS Investments의 S&P 500 커버드콜 ETF입니다. 이 ETF는 앞에서 본 전통적(?)인 커버드콜 ETF인 QYLD와 조금 다릅니다.

아래는 SPYI의 운용 전략을 엿볼 수 있는 설명입니다. 항목 2는 세금에 대한 이야기이고, 항목 1과 항목 3이 콜옵션 전략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항목 1에서 데이터기반(data-driven) 콜옵션 전략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커버드콜 ETF는 기초 자산을 담보로 콜옵션을 발행하고 만기를 기다리는 것이 전부입니다.

콜옵션을 발행 시, 발행하는 것이 유리한지 또는 불리한지를 약간이나마 가늠할 수 있다면, 발행 분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초 자산이 횡보 또는 하락한다면 콜옵션 발행으로 이익을 보게 되고, 기초 자신이 크게 상승한다면, 콜옵션 발행으로 손해를 보게 됩니다.

콜옵션의 손실 가능성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면, 손실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 콜옵션 발행량을 줄이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초 자산의 100%를 콜옵션으로 노출하는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0 ~ 100%의 가변적인 노출을 하는 것입니다.

항목 3은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아마도 콜옵션을 팔고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장 흐름에 따라 콜옵션을 사거나 파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래는 SPYI와 XYLD의 성과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기간이 길지 않지만, 시장이 상승할 때에는 기존 커버드콜 보다 수익률이 좋습니다. 반대급부로 XYLD에 비해 변동성은 높아집니다. 출처: SPYI vs XYLD

SPYI vs XYLD

그렇다고 SPYI가 SPY와 비슷한 또는 더 좋은 성과를 보일 수 있을 거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아래는 SPYI와 SPY의 성과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출처: SPYI vs SPY

SPYI vs SPY

SPYI는 콜옵션을 기계적으로 발행하지 않고, 좀 더 적극적으로 관리합니다. 커버드콜 ETF의 장점인 안정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기초 상품의 수익률을 조금 더 가깝게 추종하기 위해서입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출시하고자 하는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도 이러한 부류의 신형(?) 커버드콜 ETF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지수 및 ETF 운용 방식이 공개되어야 하기에 신형(?)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커버드콜 전략이 노출되면, 매수자가 이를 역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가 액티브(active) 방식이라면 가능할 수 있겠지만, 기초 지수를 설정하고 이를 추종하는 패시브(passive) 방식이라면 전통적인 커버드콜 전략을 쓸 수 밖에 없습니다.

만일 전통적인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한다면,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는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보다 장기적으로 수익률이 낮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까지는 나스닥 100 지수가 S&P 500보다 변동성이 높고, 장기 수익률도 좋았기 때문입니다. QYLD(나스닥 100 기반)와 XYLD(S&P 500 기반)를 비교하면 CAGR은 7.3%와 4.8%로 상당한 차이가 납니다. 참고: QYLD vs XYLD

목표인 15%의 분배율은 쉽지 않을 듯합니다. 15%라는 수치는 이미 10%까지 프리미엄이 있다고 마케팅하는 다른 ETF보다 더 좋은 상품이라는 인식을 주기 위함입니다. 이 정도의 프리미엄을 장기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주가 하락을 가정하지 않고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며

ETF 시장의 승자 독식 현상을 살펴보고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출시하고자 하는 신규 커버드콜 ETF에 대해 추정해 보았습니다.

국내 ETF 시장에서 성격이 동일한 ETF는 1등이 아니면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장기 투자용으로 설계된 ETF는 조금이나마 가능성이 있지만, 단기 투자에 적합한 ETF는 한 상품으로 대부분의 투자금과 거래가 편중됩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4월 중에 3종의 신규 커버드콜 ETF를 출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중에서 S&P 500을 기초 상품으로 하는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의 커버드콜 전략이 무엇일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두 ETF도 동일한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할 것입니다)

액티브 방식의 ETF라면 SPYI와 같이 세련된 신형 커버드콜 전략일 수도 있지만, 패시브 방식의 ETF라면 전통적(?)인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할 듯합니다. 전통적인 전략을 사용한다면, 국내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나스닥 100 지수를 기초 자산으로 하는 커버드콜 ETF보다 더 나은 성과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듯 합니다. 

출시가 확정된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신규 커버드콜 ETF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은 ACE 미국500 15%프리미엄분배(합성) (매일 초단기 콜옵션을 발행하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신규 커버드콜 ETF)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이 글을 친구와 공유하는 건 어떻까요?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