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벤치마크 대비 상대 누적 자산비를 계산하여 투자 전략의 누적 수익률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상대 누적 자산비는 누적 수익률과 상대 수익률 변화를 함께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하긴 하지만, 수익률 변화에 좀 더 집중하거나 최근 수익률 위주로 살펴보고 싶은 경우에는 편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전 글: [데이터 분석 부록 B1] 투자 전략의 벤치마크 대비 성과 변화를 살펴보기 (구글 시트 편, feat. 퀀트 투자)
수익률 변화 위주로 살펴보는 방법의 하나는 단위 기간으로 윈도(window)를 이동시켜(rolling) 가며 수익률 변화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5년 CAGR을 그래프로 그려보는 것입니다. 최근 수익률 위주로 살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첫 투자 시점이 아닌, 마지막 시점 기준으로 성과를 역으로 추적해 계산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공지 (2025. 5. 15.) 책 출간으로 인해 부분 공개로 전환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책 소개: 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부록 A 퀀트 투자 전략 분석 기초 (오렌지사과의 불친절한 워크북)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의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모두 과거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단위 기간 CAGR의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IF(ROW() - $AH$1 < $AH$2, , (Y243 / INDIRECT(AI$5 & ROW() - $AH$1)) ^ (1 / ($AH$1/12)) - 1)
시간 역순 상대 CAGR을 살펴보는 방법
(책 출간으로 내용 생략)
정리하며
퀀트 투자에서 투자 전략을 선택할 때 장기 백테스트 결과만 살펴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과거 누적된 수익률이 미래에도 재현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투자 전략의 벤치마크 대비 우위 변화를 관찰하고, 앞으로 우위가 나타날 수 있을지에 대한 투자자 나름의 합리적인 근거와 판단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벤치마크 대비 수익률을 단위 기간이나 최근 위주로 살펴보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이어지는 글: [데이터 분석 부록 B3] 투자 전략을 평균-분산 그래프로 비교해 보자 (구글 시트 편, feat. 퀀트 투자)
목록: 자산 배분 분석 방법과 사례 글 모음 [목록] (순서대로 차근차근 읽기를 권합니다)
출간 안내: 부록 B 연재를 묶어 읽기 쉽게 보완하여 편집한 책이 전자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책 소개: 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부록 A 퀀트 투자 전략 분석 기초 (오렌지사과의 불친절한 워크북)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참고 서적: <왜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라는 걸까? - 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에 대한 통계학적 시각>, <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 오렌지사과의 불친절한 워크북> (먼저 읽기를 권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오렌지사과의 불친절한 워크북) 출간에 부쳐 (샘플북 포함)
- 배당과 주객전도 2 (배당성장과 ETF, 그리고 환율)
- 배당과 주객전도 1 (배당과 배당락, 그리고 계좌이체)
- 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출간 진행 상황)
- [데이터 분석 부록 A3]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인출식 투자 성과 추정 (구글 시트 편)
- S&P 500 국내 ETF는 무엇이 좋을까? (국내 상장 ETF 9종 비교와 분석)
- 나스닥 100 국내 ETF는 무엇이 좋을까? (국내 상장 ETF 5종 비교와 분석)
- 한국인은 커버드콜 ETF에 장기 투자해도 좋을까? - 커버드콜 ETF에 대한 글 모음
- 초단기 채권 ETF가 좋을까? RP/발행어음이 좋을까? (파킹용 단기 자금)
- 당신이 JEPI/JEPQ를 사면 안되는 이유 (해외 상장 인컴 ETF의 배당소득세와 양도소득세)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 배분] SPY + VIG(미국 배당성장주 ETF) + 환율 (평균-분산 그래프 분석) (1) | 2025.03.06 |
---|---|
주가 및 관련 데이터 가져오는 법 (구글 Colab - 파이썬 클라우드 서비스) (0) | 2025.02.18 |
[데이터 분석 부록 B4] 투자 전략 간 상관성과 분산 투자 효과를 살펴보자 (구글 시트 편, feat. 퀀트 투자) (0) | 2025.02.12 |
[데이터 분석 부록 B3] 투자 전략을 평균-분산 그래프로 비교해 보자 (구글 시트 편, feat. 퀀트 투자) (0) | 2025.02.10 |
[데이터 분석 부록 B1] 투자 전략의 벤치마크 대비 누적 수익률 변화를 살펴보자 (구글 시트 편, feat. 퀀트 투자) (0) | 2025.02.08 |
배당과 주객전도 2 (배당성장과 ETF, 그리고 환율) (0) | 2025.02.02 |
배당과 주객전도 1 (배당과 배당락, 그리고 계좌이체) (2) | 2025.02.02 |
[데이터 분석 부록 A3]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인출식 투자 성과 추정 (구글 시트 편) (0) | 2025.01.19 |